축산 선진화 새 어젠다, ‘친환경’이 답이다
상태바
축산 선진화 새 어젠다, ‘친환경’이 답이다
  • 윤상훈 기자
  • 승인 2014.02.20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I·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 예방 위한 투자·지원 필요
다단식I·밀집 사육환경 개선으로 면역력 끌어올려야
조류 인플루엔자(AI)가 호남을 넘어 강원도 원주까지 상륙한 가운데, AI와 구제역 등 몇 해마다 발생하는 축산 전염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 해법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AI나 구제역 등 국내 가축류에 자주 발생하는 질병들은 대부분 밀집식 사육 환경이 주요 원인이다. 닭이나 오리 사육장의 경우 좁은 면적에 더 많은 가금류를 입식하기 위해 다단식 케이지를 선호하다보니 동물의 면역력 저하에 따른 전염병 발병 위험이 점점 높아지는 것이다.
이런 다단식 케이지는 현재 4, 5단은 기본이고 많게는 9단 케이지까지 도입한 경우도 있을 정도다.

   
▲ AI, 구제역 등 축산 전염병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우리 축산업의 경쟁력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현재의 밀집식 축산 환경을 친환경 축산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축산업계 안팎에서는 밀집식 사육 환경을 폐기하는 대신 가축이 살기 좋은 친환경 축산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양계농 A씨는 “열악한 축산농가의 현실을 감안하면 생산성 확대와 경제성 제고를 위한 밀집식 사육 환경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그러나 현재와 같은 밀집식 사육 시스템을 앞으로도 고수한다면 국내 양계농업은 AI 등 각종 전염병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말했다.

A씨는 “지난달 정부도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친환경 축산 종합대책’을 발표했지만, 사육농가의 반발 등 거센 저항에 부딪혔다”고 전제하면서 “그러나 밀집식 사육에 따른 가축 면역력 하락과 주기적 전염병 창궐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축산농들도 전향적으로 입장을 바꿔 정부와 머리를 맞대고 근본적인 처방을 마련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지난 1월 정부가 발표한 친환경 축산 종합대책은 강력한 규제와 막대한 비용이 동반되는 사안임에도 이를 사전에 축산농과 충분히 협의하지 않은 채 졸속으로 공개한 것은 정부의 진정성을 의심받게 하는 실책이었다는 것이 A씨의 판단이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닭, 오리, 소, 돼지 등 주요 가축들에 대한 친환경 축산 환경 구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당장 시설 보완이나 운영 등에 막대한 비용이 들고 정부의 행정규제가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친환경 축산을 계속해서 거부하기에는 AI, 구제역 등 전염병의 피해가 너무나 크다는 것이다.

특히 한 번 전염병이 발병하면 무차별적 살처분에 따른 축산 기반 약화와 가축 소비 급감으로 인한 가격 하락 등 축산 농가 전반에 걸쳐 심각한 위기가 초래될 수밖에 없어 이 같은 위기 상황을 반복적으로 초래하는 현재의 축산 환경은 반드시 개선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무엇보다 한-칠레, 한-미, 한-EU FTA 등 급격한 농업시장 개방의 여파로 축산업의 생존 기반까지 흔들리는 가운데, 수입산 축산물과 질적 차별화를 꿰하지 않는다면 한국 축산업은 전멸의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으리라는 분석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는 점도 친환경 축산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의무라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

실제로 정부가 서두르고 있는 중국, 호주와의 FTA는 시간이 문제일 뿐 체결 자체를 무산시킬 가능성은 사실상 희박하다. 따라서 이번 AI 파동을 계기로 업계는 친환경 고품질 축산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정부는 이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우리 축산업 전반의 면역력을 끌어올리는 새로운 축산 어젠다(의제)를 수립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