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워라! 우리 일상속 일제 잔재물
상태바
놀라워라! 우리 일상속 일제 잔재물
  • 충북인뉴스
  • 승인 2005.08.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복60주년 문화사업위, 시민공모로 70여개 추려

<한겨레신문>‘액자 속 태극기, 산도 과자, 진로소주의 상표, 지폐 속 한국은행 총재 관인….’

문화관광부‘광복60주년기념 문화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 황병기)는 5월부터 지난달 15일까지‘일제 문화잔재 바로 알고 바로잡기’ 시민제안 공모를 받았다. 건축·기념·조형물에서 언어와 놀이문화, 문화예술, 스포츠에이르기까지 각 분야 606건의 제안이 접수됐다.

땅이름학회·국립국악원·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민족문제연구소 관계자 등으로구성된 고증 심사위원회는 최근 이 가운데 70여개 후보작을 추려냈다. 심사위는 다음주 올해가광복 60돌이라는 뜻에서 60개를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추려진 후보작들은 누구나 평소 자주 접하면서도 일제와 관련 짓기 어려운 일상적인 것이 대부분이다.

일제가남긴 관습 가운데 눈에띄는 것은 ‘액자 속 태극기’. 고증 심사위원회는“국기를 액자 속에넣어 걸어놓고‘경배’하는 나라는 일본과 한국뿐이라는 지적은 검토할 만하다”고 밝혔다. 국기에대한 경례는군국주의 아래획일주의를 강제했다는 이유로 후보에올랐다. 일제 때 도입된 뒤 1990년대 일본과 대만에서조차 폐지됐으나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운용되는 인감증명 제도와 고유의글자체가아닌 일본식 양식을 아직 유지하고 있는 지폐 안의 ‘총재의인’ 표시도 잔재로 꼽혔다.

일제가세운 건축·기념물 가운데는 일제가러-일 전쟁 승전을기념하기 위해 세운 거제도 취도탑과 송진포기념비갖으뜸 추천’을 받았다. 심사위는“취도탑은 일본에서군신으로 받들고 있는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의 친필 휘호가남아 있어 일본에서도 찾기 힘든 러-일 전쟁 전승기념물”이라며“잔재를 넘어 중요한 역사자료인 만큼 현장에기념관 등을 세워 관련 유물과 함께 전시할 필요가있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인 농장인 김제 하시모토 농장, 일본식 건물인 경주의 시바타 여관과 야마구찌 병원, 조선은행군산지점등이 선정됐다. 문화재가즐비한 경주 시내를 관통하는 동해남부선 철도도‘풍수침략’이라는 이유로 후보에올랐다.

일제가남긴 지명으로는 만경강과 영산강이‘으뜸 추천’을 받았다. 제안자인 조법종 우석대교수(사학과)는“조선시대에각각 사수강, 사호강으로 불린 두 강을 일제가자의적으로 만경현과 영산포구에예속된 이름으로 변경시켰다”고 지적했다. 심사위는 일본 거류민 아이를 모아 가르치는기관에서 시작된 유치원이라는 용어와 지방 출신 사람들이 서울에서 모임을 만들 때 사용하는 재경이라는 명칭도 일제 잔재 용어로 꼽았다. 특히 교육인적자원부는 정부 부처 이름엶적()’이라는 일본식 표현을 썼다는 이유로 후보에올랐다.

문화 분야와 상품 이름들의 왜색도 지적됐다. 샌드를 일본 발음으로 읽은 산도 과자가대표적이다. 진로 소주의 라는 상표는 일본 우동집 차림표나 스모경기의 대진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삐침이 큰글자체를그대로 모방했다는 점에서‘으뜸 추천’을 받았다. 제안자인김민수씨는“일본에서는 이런글씨체를‘스모체’로 부른다”며“진로라는 이름은 워낙 익숙한 만큼‘시민참여 로고 공모’가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거리는 부른다~ 환희에빛나는…’으로 시작되는 대중가요 감격시대는 1939년 발표돼 징용과 징병, 승전에대한기쁨을 노래해 보급권장가요로 선정됐다는 이유로, 백년설의 복지만리는 만주 진출이라는 일본 침략정책을 홍보했다는 이유로 잔재 후보로 추천됐다.

놀이문화에서의 일제 잔재 1순위는 단연 화투다. 심사위는“일본의 화투는 서양 카드를 일본화한 것이지만 한국의 화투는 일본식 용어가그대로 남아 있어, 일제 잔재까지는 아니지만 왜색문화인 것은 분명하다”며“그 도안이나 형태에서 왜색을 제거하고 한국적인 요소를 창의적으로 접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묵찌빠나 쎄쎄쎄 등 어린이들의 놀이도 일제 잔재 후보로 올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