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늘의 상한가 총정리]전기차 부품 생산 소식에 LG전자우·LG전자 상한가... 신성델타테크 등 코스닥 6개 종목 상한가
상태바
[23일 오늘의 상한가 총정리]전기차 부품 생산 소식에 LG전자우·LG전자 상한가... 신성델타테크 등 코스닥 6개 종목 상한가
  • 육성준 기자
  • 승인 2020.12.23 16: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1 수능] 주식시장 및 은행 영업시간 1시간 늦춰진다
[23일 오늘의 상한가 총정리]전기차 부품 생산 소식에 LG전자우·LG전자 상한가... 신성델타테크 등 코스닥 6개 종목 상한가

23일 코스피 시장에서 전기차 부품 생산에 나선다는 소식에 LG전자우·LG전자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석경에이티, 신성델타테크, KB오토시스, 인포뱅크, 모아텍, 대성엘텍 등 6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코스피 상승률

순위 종목명 현재가 전일비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백만) 52주고가
1 LG전자우 47,500 10,950 +29.96% 3,097,042 139,606 47,500
2 세방전지 61,200 14,100 +29.94% 2,503,467 146,492 61,200
3 LG전자 119,500 27,300 +29.61% 16,558,251 1,828,497 119,500
4 삼아알미늄 11,400 2,600 +29.55% 5,706,322 60,261 11,400
5 계양전기 5,070 1,150 +29.34% 21,518,124 99,221 5,090
6 LG우 71,500 11,100 +18.38% 1,119,637 81,514 78,500
7 TCC스틸 5,640 825 +17.13% 18,867,428 107,035 6,140
8 유니퀘스트 14,200 1,650 +13.15% 5,595,354 77,208 14,400
9 LG이노텍 185,000 21,000 +12.80% 3,464,381 644,332 208,500
10 모토닉 12,250 1,300 +11.87% 1,395,681 16,657 16,250
11 알루코 5,170 540 +11.66% 32,121,490 159,388 5,870
12 해성디에스 22,300 2,250 +11.22% 1,478,984 32,064 22,550
13 TIGER 200IT레버리지 49,985 4,835 +10.71% 61,787 2,992 51,000
14 LG 86,400 8,100 +10.34% 6,576,393 593,990 97,700
15 계양전기우 7,930 730 +10.14% 68,617 529 10,750
16 만도 59,000 5,400 +10.07% 4,689,107 274,991 63,000
17 미래아이앤지 384 32 +9.09% 38,663,814 15,152 485
18 한국단자 56,200 4,500 +8.70% 206,382 11,390 61,100
19 삼화콘덴서 61,600 4,800 +8.45% 1,858,995 114,868 69,900
20 한국종합기술 4,940 380 +8.33% 184,236 883 5,060
21 세방우 7,100 520 +7.90% 39,333 274 7,300
22 미래에셋 전기전자 Core5 ETN 29,125 2,120 +7.85% 32,369 921 29,815
23 대한제당 23,750 1,600 +7.22% 90,298 2,111 24,200
24 신흥 10,700 700 +7.00% 80,285 858 18,000
25 신한 인버스 2X 은 선물 ETN(H) 2,665 170 +6.81% 433,346 1,152 20,000
26 율촌화학 21,250 1,350 +6.78% 236,273 4,839 22,000
27 TIGER LG그룹+펀더멘털 9,970 620 +6.63% 451,687 4,557 10,355
28 두산솔루스 54,700 3,400 +6.63% 1,272,005 68,000 55,600
29 금호에이치티 2,530 155 +6.53% 64,166,911 177,454 4,985
30 인지컨트롤스 11,500 700 +6.48% 622,127 7,010 15,750

코스닥 상승률

순위 종목명 현재가 전일비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백만) 52주고가
1 석경에이티 26,000 6,000 +30.00% 1,088,167 28,129 0
2 신성델타테크 8,340 1,920 +29.91% 26,245,995 202,589 8,340
3 KB오토시스 8,220 1,890 +29.86% 2,325,542 18,676 8,220
4 인포뱅크 12,700 2,920 +29.86% 3,229,078 37,877 12,700
5 모아텍 12,000 2,750 +29.73% 1,975,928 22,768 23,650
6 대성엘텍 1,270 290 +29.59% 52,901,227 64,671 1,495
7 엔에이치스팩14호 4,280 875 +25.70% 10,395,199 43,435 4,425
8 로보스타 21,550 4,050 +23.14% 1,015,771 20,072 21,550
9 대성파인텍 2,260 415 +22.49% 52,496,775 115,967 2,745
10 엔지스테크널러지 6,430 1,070 +19.96% 2,707,381 16,335 8,090
11 나라엠앤디 12,700 1,950 +18.14% 14,291,727 181,569 14,000
12 세원 4,965 715 +16.82% 28,403,386 143,554 8,570
13 넵튠 29,650 4,000 +15.59% 1,530,253 41,698 43,200
14 삼기 3,575 475 +15.32% 12,188,709 41,944 3,870
15 한국정보공학 4,020 530 +15.19% 2,207,195 8,511 4,200
16 글로스퍼랩스 10,450 1,280 +13.96% 1,353,234 13,603 10,850
17 일지테크 4,210 500 +13.48% 2,666,827 10,832 5,940
18 유진로봇 3,200 370 +13.07% 14,563,869 46,614 3,400
19 유니트론텍 7,200 820 +12.85% 11,554,093 85,060 8,900
20 NEW 5,230 545 +11.63% 3,325,779 16,751 6,730
21 하나기술 105,900 10,700 +11.24% 6,205,766 670,979 122,100
22 파인디지털 6,700 670 +11.11% 7,311,919 53,886 7,830
23 팅크웨어 12,650 1,250 +10.96% 5,076,017 66,627 14,500
24 상신전자 4,055 375 +10.19% 958,728 3,836 4,375
25 코다코 1,325 115 +9.50% 6,322,158 8,626 1,945
26 한컴MDS 15,000 1,300 +9.49% 1,208,328 18,120 15,600
27 강스템바이오텍 8,090 690 +9.32% 26,800,939 243,777 11,650
28 매직마이크로 343 28 +8.89% 17,355,940 6,251 828
29 엘앤케이바이오 29,400 2,400 +8.89% 2,167,875 61,344 32,350
30 뉴인텍 2,730 220 +8.76% 1,894,984 5,046 3,825
sk케미칼
sk케미칼

1. 아스트라제네카 관련주

아스트라제네카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23일 SK케미칼은 1.56%(6000원) 내린 37만 9000원에, 진매트릭스는 5.25%(1350원) 내린 2만 4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자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이번에 발견된 변종 바이러스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자사 백신 후보물질) AZD1222는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돋은 단백질 스파이크의 유전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면서 "이번 변이체에서 발견된 유전암호의 변화가 단백질 스파이크의 구조를 바꾸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자사 백신의 효능 연구에 착수했다고 덧붙였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AZD1222를 접종하면 인체의 면역체계는 단백질 스파이크의 여러 부분을 인식하게끔 훈련된다"면서 "이로써 나중에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영국에서 발견돼 'B.1.1.7'라 불리는 이 변이체의 감염력은 최대 70% 더 크며, 어린이에게 쉽게 전염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연구진과 손잡고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아스트라제네카는 이달 초 자사의 백신 예방효과가 62∼90%라고 발표했다.

모더나
모더나

2. 모더나 관련주

모더나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23일 파미셀은 7.97%(1450원) 하락한 1만 6750원에, 에이비프로바이오는 15.37%(305원) 하락한 16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79)과 앨릭스 에이자 미 보건복지부 장관(53)이 22일(현지시간) 미 제약업체 모더나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공개 접종했다.

미국의 감염병 분야 최고 권위자인 파우치 소장과 에이자 장관은 이날 오전 매릴랜드 주 베데스다에 위치한 미국국립보건원(NIH) 임상센터에서 공개적으로 백신을 맞았다.

프랜시스 콜린스 NIH 원장과 NIH 임상센터 소속 의료진 6명도 함께 접종을 받았다.

미국은 지난 18일 모더나 백신을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승인했다. 앞서 11일에는 미 제약업체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허가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21일 델라웨어주의 한 병원에서 화이자 백신을 접종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18일 같은 백신을 백악관에서 공개적으로 맞았다.

[특징주] 유한양행 주가 7% 상승세 '위궤양 치료 개량신약 출시'
유한양행 로고

3. 얀센 관련주

얀센 관련주 유한양행, 인콘, 티앤알바이오팹 주가는 희비가 엇갈렸다.

23일 유한양행은 1.35%(1000원) 하락한 7만 3300원에, 인콘은 12.41%(490원) 하락한 3460원에, 티앤알바이오팹은 1.48%(250원) 상승한 1만 71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방역당국은 올해 12월 안으로 다국적 제약사 얀센 및 화이자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도입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2021년 1월에는 모더나와도 계약을 체결하는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심각한 부작용 등 큰 차질이 없는 한 예상대로 해당 백신도 순차적으로 국내에 도입될 전망이다.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은 2021년 2~3월 국내에 도입한 뒤 신속히 접종이 진행해 인플루엔자(독감) 유행 시기인 11월 이전에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예방접종은 의료인과 노인, 만성질환자 등 우선접종 권장 대상자를 중심으로 접종을 시작한다. 또 안전성과 유효성, 부작용 사례를 고려해 당국이 백신별 접종 대상자와 접종기관 등을 지정한다. 정부에서 접종하는 백신을 정하겠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백신 확보 현황 및 예방접종 계획안'을 18일 발표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얀센과 화이자는 12월, 모더나는 1월을 목표로 계약 체결을 추진한다. 

우리 정부가 2021년 국내로 들여오는 백신 4종은 Δ아스트라제네카 2000만회분(2회 접종, 1000만명분) Δ화이자 2000만회분(2회 접종, 1000만명분) Δ모더나 2000만회분(2회 접종, 1000만명분) Δ얀센 400만회분(1회 접종, 400만명분)으로 총 3400만명분이다.

복지부는 "백신 구매에 필요한 세부 조건 등 계약을 진행하고 국내 도입에 대한 허가심사도 신속하게 진행한다"며 "12월 중 예방접종에 대한 구체적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접종기관 및 접종인력 확보, 대국민 홍보, 접종요원 교육 등을 준비하는 작업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료인을 대상으로 백신 특징과 접종기술 교육, 코로나19 백신 접종 도상훈련을 실시한다"며 "질병관리청에 가칭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을’ 구성해 운영하겠다"고 덧붙였다.

[특징주] KPX생명과학 주가 29% 급등세 '화이자에 항생체중간체 독점공급'
kpx생명과학 로고

4. 화이자 관련주

화이자 관련주 KPX생명과학, 제일약품, 우리바이오 주가 역시 일제히 하락했다.

23일 KPX생명과학은 11.49%(1850원) 하락한 1만 4250원에, 제일약품은 7.82%(5200원) 하락한 6만 1300원에, 우리바이오는 5.78%(380원) 하락한 6190원에 거래 중이다.

어린이에 대한 감염 전파력이 높다는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가 영국에서 발견되자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 유럽 국가는 물론 터키, 이스라엘,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 40개국 이상이 일제히 영국발 입국을 전면 금지한 데 이어 아시아 등 각국에서도 속속 입국 차단에 나섰다.

코로나 피해가 극심한 미국 뉴욕주에서는 영국발 항공편 승객 가운데 음성 판정을 받은 승객들만 입국시키기로 했다. A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영국 브리티시 항공에 이어 델타 항공·버진 항공 등 항공사들이 이날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승객만 뉴욕행 탑승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 방역당국은 “전파력이 높아 상당히 우려된다”면서도 중국발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렸던 초기 때와 마찬가지로 영국발 입국자들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를 당장 시행하지는 않기로 했다.

앞서 미국과 영국 등 피해가 많은 서방 국가들은 이달 들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며 확산 차단에 나섰다. 그러나 영국에서 변종 코로나19가 급속도로 번지며 일각에서 백신 무용론까지 제기됐다.

화이자는 21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면역 반응을 하기 위해 코로나 면역력을 보유한 사람들로부터 혈액 샘플을 채취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CNN 방송과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사힌 CEO는 변종 바이러스는 1270개의 아미노산 가운데 단지 9개 아미노산이 변이한 것이라면서 코로나 백신은 변종 바이러스에 대응할 아미노산을 99% 함유하고 있어 효능이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그는 이어 자사의 백신이 바이러스 유전정보가 담긴 ‘메신저 리보핵산’(mRNA·전령RNA)을 활용해 개발됐기 때문에 “돌연변이를 모방한 백신을 직접 만들 수 있다”면서 “기술적으로 6주 이내에 새 백신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의 바이오엔테크, 미 제약사 모더나는 영국발 변종 바이러스에 대해 백신 효능을 검증하는 테스트에 각각 착수했다.

모더나도 성명을 내고 “우리의 백신이 유발하는 면역력은 영국발 변종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보호 기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 추가 실험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랩 관련 '써니전자' 급등락, 임직원 차익실현 '14억' 수준<br>
써니전자 로고

5. 안철수 관련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다는 소식에 한동안 관심을 모았던 관련주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3일 안랩은 2.69%(1900원) 상승한 7만 2500원에, 우성사료는 1.47%(45원) 하락한 3010원에, 써니전자는 1.65%(75원) 상승한 4630원에, 링네트는 7.91%(670원) 하락한 7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여권에선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야권에선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길리서치가 쿠키뉴스 의뢰로 지난 19~20일 서울시 거주 만 18세 이상 남여 800명 대상을 대상으로 한 '범여권 서울시장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 박영선 중기벤처부 장관이 16.3%였다.

이어 추미애 법무부 장관 8.8%, 박주민 민주당 의원 7.2%, 우상호 민주당 의원 6.6%, 박용진 민주당 의원 4.4%,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2.6%, 정청래 민주당 의원 2.5% 순이었다.

'적임자가 없다'는 응답은 32.1%, 기타 11.4%, 잘모름·무응답 8.1%였다.

범야권에서는 안철수 대표가 17.4%, 나경원 전 의원이 16.3%였다. 이어 조은희 서초구청장 8.3%, 금태섭 전 민주당 의원 6.6%, 이혜훈 전 의원 3.8%, 김선동 전 국민의힘 사무총장 1.7%, 박춘희 전 송파구청장 1.4% 순이었다.

'적임자가 없다'는 응답은 28.2%, 기타 8.5%, 잘모름·무응답 7.9%였다.

이번 조사는 한길리서치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식(유선전화면접 17%, 휴대전화 가상번호 83%, 무작위 RDD추출)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9.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p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길리서치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GC녹십자, 코로나19 혈장치료제 전면 '무상' 공급
녹십자 로고

6. 코로나 혈장치료제 관련주

코로나 혈장치료제 관련주인 녹십자, 녹십자셀 주가가 하락세다.

23일 녹십자는 3.09%(1만 2000원) 하락한 37만 6000원에, 녹십자셀은 11.36%(6600원) 하락한 5만 1500원에, 녹십자엠에스는 0.7%(100원) 상승한 1만 4300원에 장을 마감했다.

GC녹십자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혈장치료제가 22일 아산병원에서 치료목적 사용을 추가로 승인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6번째 치료목적 사용을 승인했다.

GC녹십자 코로나19 혈장치료제는 현재 중앙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 등 12개 병원에서 고위험군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임상시험 중인 의약품은 식약처 승인 하에 생명이 위급하거나 대체치료수단이 없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의료현장에서 중증환자 25명이 혈장치료제 투약을 완료했거나 준비 중이며 이번 승인으로 GC녹십자 혈장치료제를 투여 받는 환자는 26명으로 늘어난다. 혈장치료제가 20명 넘는 환자에게 사용되면서 의약품 안전성은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령의 중증환자 1명은 혈장치료제 투여 후 약 3~4주 만에 완치 판정 받기도 했다.

의료현장 수요 대응을 위해 GC녹십자는 지난달 30일 코로나19 혈장치료제 3차 생산을 완료한 바 있다.

셀트리온제약<br>
셀트리온제약<br>

7. 코로나 항체치료제 관련주

코로나 항체치료제 관련주 셀트리온·셀트리온제약·셀트리온헬스케어 주가는 보합세를 보였다.

23일 셀트리온은 1.11%(4000원) 하락한 35만 5000원에, 셀트리온제약은 0.51%(1200원) 상승한 23만 5200원에,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73%(3000원) 하락한 17만 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셀트리온(068270)이 개발 중인 코로나19 항체 신약 ‘CT-P59(성분명 레그단비맙)’이 코로나19 폐렴 환자 대상 ‘치료목적사용’ 승인을 받았다. 서울아산병원이 승인받은 데 이어 2번째 승인이다.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은 개인별 코로나19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CT-P59의 치료목적사용 승인을 획득했다. 대상질환명은 코로나19 감염증, 폐렴이다.

치료목적사용 제도는 치료제가 없는 환자 개인 혹은 단체에 대해서 건 별로 연구자(의사 등)나 기업 등이 식약처에 신청해 승인을 받고 환자에게 약을 투여할 수 있는 제도다.

앞서 서울아산병원은 지난 11일 셀트리온의 CT-P59와 관련해 개인별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목적사용은 승인받았다.

[애플 관련주] 인포뱅크 주가 29% 급등세 '애플 전기차 제조 소식에 호재'
인포뱅크 로고

8. 애플 관련주

인포뱅크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23일 인포뱅크는 29.86%(2920원) 상승한 1만 2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인포뱅크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차량용 임베디드 소프트업체로서는 처음으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시스템의 핵심 기술에 해당하는 애플 ‘카플레이’, 구글 ‘안드로이드오토’ 솔루션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히고 있다.

최근 애플이 오는 2024년을 목표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적용한 전기차 제조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자율주행차 기술을 발전시켜 오는 2024년을 독자적으로 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삼은 ‘프로젝트 타이탄’을 추진한다. 자율주행차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만 매진했던 계획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완성차 생산으로 방향을 튼 셈이다. 애플은 앞서 테슬라 출신인 더그 필드 부사장을 2018년 영입했었다.

[특징주] 모트렉스 주가 29% 상한가 '테슬라 배터리데이 영향'
모트렉스 로고

9. 애플카 관련주

애플카 관련주인 모트렉스, 파워넷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23일 모트렉스는 전날보다 8.38%(550원) 오른 7110원에, 파워넷은 0.53%(30원) 오른 5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차량용 시스템만 개발하겠다던 애플이 이르면 2024년에 자율주행시스템을 갖춘 혁신적인 '애플카' 생산을 비밀리에 준비 중이다.

21일(현지시간) 미국 IT 매체에 따르면 애플이 독자적인 전기차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카'는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 혁신을 계획 중이다.

애플이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경쟁사인 테슬라와 달리 배터리에서 파우치와 모듈을 없애 배터리셀 용량을 키우는 '모노셀' 디자인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배터리에 과열 가능성이 낮은 리튬인산철(LFP)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자율주행의 필수품이자 주변 물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라이다(LiDAR) 센서는 외부 업체에서 공급받을 전망이다. 애플은 웨이모처럼 자율주행 로봇 택시보다 개인용 승용차 제작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차량을 만들 만한 기술적 진전을 이뤘다고 주장했다. 

애플의 자동차 출시설은 이미 이달 초부터 애플의 핵심 생산기지인 대만에서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대만 매체들은 애플이 대만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TSMC와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인공지능칩을 공동개발할 예정이라고 보도하는가 하면 애플이 자동차 출시를 앞두고 대만 협력업체에 관련 납품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애플은 지난 2014년부터 '타이탄'이라는 프로젝트를 꾸려 자율주행차 개발에 나서 구글의 '웨이모'와 맞서려 했다. 애플은 2015년부터 일반 상용차에 자율주행 센서를 장착, 시험주행을 했고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017년 6월 인터뷰에서 자율주행차사업 진출을 공식 인정했다.

애플처럼 전기차사업에 관심을 보여온 삼성전자는 직접 완성차 분야 진출보다는 배터리와 자동차용 전장제품 등의 납품에 주력 중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7년 80억달러(9조3700억원)를 투자해 자동차용 전장부품업체 하만을 인수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